본문 바로가기

정부지원 프로그램

올해 전기차 보조금은 얼마? 2월 3일부터 신청 접수

반응형

2025년 전기차 보조금 신청 안내: 서울시의 친환경 교통 전환


2025년 서울시는 전기차 9,276대를 보급할 계획을 발표하며, 친환경 교통 체계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이번 보조금 신청은 2월 3일부터 시작되며, 시민들이 안전하게 전기차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차종별 맞춤형 지원책을 마련했습니다.

 

1. 2025년 전기차 보급 목표


서울시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10만 대의 전기차를 누적 보급한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에는 민간 부문에 9,096대, 공공 부문에 180대를 보급할 예정입니다. 보급 계획은 상반기와 하반기로 나뉘어 있으며, 상반기에는 승용차 4,000대, 화물차 500대, 택시 900대, 시내 및 마을버스 130대, 어린이 통학차량 10대, 순환 및 통근버스 3대를 지원합니다.


2. 보조금 지원 내용


전기차의 보조금은 차종에 따라 다르게 책정됩니다. 승용차의 경우 최대 630만 원의 보조금을 지원하며, 차량 가격이 5,300만 원 미만인 경우에는 전액 지원됩니다. 5,300만 원 이상에서 8,500만 원 미만인 차량은 최대 보조금의 50%가 지원됩니다. 또한, 배터리 이상 징후 알림 기능을 갖춘 차량은 추가 보조금도 받을 수 있습니다.

택시의 경우 일반 승용차보다 긴 주행거리를 고려하여, 배터리 보증기한이 5년 또는 35만 km 이상인 차량에 대해 추가 10만 원의 보조금이 지원됩니다. 화물차는 최대 1,350만 원의 보조금이 지원되며, 특히 택배차량에 대해서는 추가 지원이 있을 예정입니다.

대중교통 분야에서도 전기차 보급 확대가 이루어집니다. 올해 상반기에는 시내 및 마을버스 130대를 추가 보급하며, 어린이 통학버스 및 복지·의료 시설의 순환버스에 대해서도 각각 최대 1억 5,000만 원과 1억 4,000만 원까지 지원합니다.



3. 신청 절차 및 자격 요건


보조금 신청은 2월 3일부터 시작되며, 신청 대상자는 서울시에 30일 이상 거주하거나 사무소를 둔 개인, 개인사업자, 법인, 공공기관 등입니다. 또한, 2개월 이내에 출고 가능한 차량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과정은 자동차 제작사 또는 수입사와의 계약 체결 후 진행되며, 보조금은 제작사 또는 수입사에 직접 지급됩니다.

신청자는 차량 출고 및 등록 순서에 따라 보조금 지급 대상이 선정되며, 자세한 사항은 서울시 친환경차량과, 다산콜센터, 전기차 통합콜센터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에서 2월3일부터 접수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전기차 보조금 신청 바로가기

 

https://ev.or.kr/nportal/main.do

 

ev.or.kr

 

2025년 전기자동차 보급사업 추진절차

○ 민간부문
보급사업 공고 서울특별시
 
전기자동차 구매계약 구매자 → 제작·수입사
 
전기자동차 구매 지원신청서 접수
(2개월 이내 출고·등록 가능 시)
제작·수입사 → 서울특별시
(무공해차 구매보조금 지원시스템)
 
자격 부여
(서류 결격사유, 2개월 이내 출고가능 등
보조금 지원 대상자 사전 검토)
서울특별시 → 구매자, 제작·수입사
(무공해차 구매보조금 지원시스템, 문자)
차량출고(10일내) 가능 통보 제작·수입사 → 서울특별시
(무공해차 구매보조금 지원시스템)
보조금 지원 대상자 확정 통보 서울특별시 → 제작·수입사
(무공해차 구매보조금 지원시스템)
※ 출고순에 의거 대상자 선정
차량 출고 및 등록
(보조금 지원 대상자 확정 통보 후
10일 이내)
제작·수입사 → 구매자
전기자동차 구매 보조금 신청
(보조금 지원 대상자 확정 통보 후
20일 이내)
제작·수입사 → 서울특별시
(무공해차 구매보조금 지원시스템)
보조금 지급 서울특별시 → 제작·수입사



 

반응형